2025 청년도약계좌 8월 금리 순위 및 신청방법
2025년 청년도약계좌는 최대 9.54%의 효과적인 금리 혜택을 제공하여 청년들의 목돈 마련과 재테크를 동시에 지원합니다. 8월에는 8월 1일부터 14일까지(영업일 기준) 신규 계좌 개설 신청이 가능하며, 1인 가구와 2인 가구별로 별도 신청 기간이 운영됩니다. 이 글에서는
- 8월 신청 일정
- 은행별 금리 순위
- 가입 자격 및 조건
- 신청 절차
- 유의 사항
까지 한눈에 정리하여 구글 SEO 최적화 전략에 맞춰 안내합니다.
1. 청년도약계좌란?
청년도약계좌는 정부가 청년(만 19~34세)을 대상으로 월 최대 70만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한 금액에 대해 기본금리와 우대금리를 합쳐 최대 9.54%의 금리 효과를 제공하는 장기 적립식 상품입니다. 지난 2023년 6월 출시된 이후 만기 5년 동안 매월 납입한 금액에 대해 정부가 월 납입분의 일정 비율을 추가 적립해 주는 구조로, 목돈 마련과 복리 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습니다.
- 가입 기간: 5년(만기)
- 월 납입 한도: 최대 70만원
- 기본금리: 4.50% (은행별 차등 적용)
- 우대금리: 최대 1.00%p~1.50%p (은행별, 프로그램별 상이)
- 기대 금리 효과: 최대 9.54%
2. 8월 신청 일정
구분 신규 개설 신청 기간 추가 계좌 개설 기간
영업일 기준 | 8월 1일(금) ~ 8월 14일(수) | 8월 21일(금) ~ 9월 12일(금) (1인 가구) |
2인 가구 | – | 9월 1일(월) ~ 9월 12일(금) (2인 가구) |
- 신규 개설: 8월 1일부터 14일까지 스마트폰 앱(은행별 모바일 뱅킹 또는 전용 앱)에서만 신청 가능
- 1인 가구 추가 개설: 8월 21일부터 9월 12일까지
- 2인 가구 추가 개설: 9월 1일부터 9월 12일까지
신규 신청은 반드시 영업일 기준 10영업일 이내에 완료해야 하며, 신청 폭주에 대비해 기간 초반에 신청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
3. 8월 은행별 금리 순위
2025년 8월 기준, 11개 시중·지방은행 및 인터넷전문은행의 청년도약계좌 금리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순위 은행명 기본금리 우대금리 합산 최대 적용 금리 비고
1 | IBK기업은행 | 4.50% | +1.50% | 6.00% | 우대조건 충족 시 |
2 | KB국민은행 | 4.50% | +1.10% | 5.60% | Livi M 등 우대 |
3 | NH농협은행 | 4.50% | +1.00% | 5.50% | 공공요금 자동이체 |
4 | 하나은행 | 4.50% | +0.90% | 5.40% | 급여이체 실적 |
5 | 신한은행 | 4.50% | +0.50% | 5.00% | 신용카드 사용 |
6 | 우리은행 | 4.50% | +0.50% | 5.00% | 포인트 적립 프로그램 |
7 | 토스뱅크 | 4.50% | +0.40% | 4.90% | 일부 우대 조건 |
8 | 카카오뱅크 | 4.50% | +0.40% | 4.90% | 모바일 전용 |
9 | 부산은행 | 4.50% | +0.30% | 4.80% | 지역 청년 우대 |
10 | 대구은행 | 4.50% | +0.30% | 4.80% | 현장 발급 우대 |
… | 전북·광주·경남 등 | 4.50% | +0.10~0.20% | 4.60~4.70% | 추가 우대 소폭 차이 |
- 최고 금리 6.00%는 IBK기업은행이 제공하며, 급여 이체·신용카드 사용 등 우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적용됩니다.
- 최저 금리는 4.60% 수준으로, 추가 우대 조건이 적은 은행에서 적용됩니다.
금리 순위는 기본금리가 동일하므로 우대금리 합산 수준이 곧 최대 적용 금리를 결정합니다.
4. 가입 자격 및 조건
- 가입 대상: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의 청년(병역 의무 소요 기간 6개월 이내까지 가입 가능)
- 납입 방식: 자유 적립식(월 0원~70만원 선택 납입)
- 가입 기간: 최초 신청일로부터 2년간 유지(2년 경과 후에는 자유롭게 해지 가능)
- 유지 및 입금 조건:
- 최소 5개월 이상 납입해야 정부 추가 적립금이 지급
- 월 납입 중단 시 우대금리 일부 차감 가능
- 중도 해지 시 납입 원금 및 이자만 지급, 정부 추가 적립금 전액 소멸
- 기타 조건: 2년 이상 유지·800만원 이상 납입 시 신용정보조회 동의 필수(신용평가사 KCB·NICE)
이 밖에도 각 은행별로 필수 우대 조건(급여 이체, 공과금 자동이체, 카드 실적 등)이 다르므로 가입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.
5. 신청 방법
- 스마트폰 앱 접속
- 은행별 모바일 뱅킹 또는 전용 ‘청년도약계좌’ 앱에서 로그인 후 상품 메뉴 진입
- 신청 자격 확인 및 동의
- 나이·소득·병역 등 기본 자격 자동 체크
- 신용정보 조회 및 정부 추가 적립 동의
- 납입 조건 설정
- 월 납입 금액(0~70만원) 및 납입일 선택
- 우대조건 달성을 위한 자동이체·급여이체 여부 지정
- 약관 동의 및 신청 완료
- 전자서명 또는 공인인증서 인증
- 신청 완료 후 확인 문자 수신
신청 후 모바일 뱅킹 내 ‘신청 현황 조회’ 메뉴에서 계좌 개설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6. 유의 사항 및 팁
- 신청 기간 엄수: 신규 개설 기간(8월 1~14일)을 놓치면 추가 창구(8월 하순)만 이용 가능
- 우대 조건 확인: 은행별 우대 항목별 가점이 다르므로 본인이 달성 가능한 조건 위주로 선택
- 중도 해지 손실: 정부 추가 적립금이 모두 소멸하므로 5개월 이상 최소 납입 후 해지 권장
- 자동이체 실패 주의: 월 납입일 기준 잔액 부족 시 다음 달 우대금리가 일부 소멸될 수 있음
- 2년 유지 후 선택: 2년 경과 시 자유 해지 가능하며 해지 전까지는 이자만 정상 지급
- FAQ 활용: 은행별 고객센터나 금융위원회 홈페이지 FAQ를 통해 세부 사항 확인
7. 은행별 공식 사이트 주소
아래 표에서 관심 있는 은행의 공식 홈페이지로 바로 접속해
‘청년도약계좌’ 메뉴를 찾아보세요.
은행명 공식 홈페이지 URL
—
위 사이트 접속 후 모바일·인터넷뱅킹 메뉴에서
‘청년도약계좌’ 또는 ‘청년우대형’ 상품을 검색해 신청 절차를 진행하세요.